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inux
반응형
7

[Linux] Nginx 설치 방법 홈서버를 만들기 위한 과정에 하나로 웹 서버인 Nginx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Linux] Nginx 설치 방법 NginX 설치 패키지 목록을 최신화 시켜줍니다.sudo apt update Nginx를 설치해줍니다.sudo apt install nginx Nginx 시작하기sudo systemctl start nginx Nginx 상태 확인sudo systemctl status nginx 부팅 시 Nginx 자동 실행sudo systemctl enable nginx 변경사항 적용 sudo systemctl restart nginx NginX 설정 80포트와 443포트 허용 sudo ufw allow httpsudo ufw allow htt.. 2025. 7. 3.
[Linux] MySQL 설치 방법 (+ubuntu) 홈서버를 만들기 위해 MySQL를 설치를 하였고 그 과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Linux] MySQL 설치 방법 (+ubuntu) MySQL 설치 우선적으로 우분투 서버 업데이트해줍니다.sudo apt-get update MySQL 를 설치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 환경 설정 MySQL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이젠 MySQL 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진행합니다. MySQL이 사용하는 포트(3306번)에 대해 방화벽에서 접근을 허용해줍니다.sudo ufw allow mysql MySQ을 실행해줍니다.sudo systemctl start mysql Ubuntu 서버 재시작시 MySQL이 자동적으로 재시.. 2025. 7. 1.
[Linux] 셸 확인 및 기능 명령어 & 예시 리눅스 관련한 명령어를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셸을 확인하고 기능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Linux] 셸 확인 및 기능 명령어 & 예시시스템이 지원하는 셸 목록 확인    cat /etc/shells : /etc/shells 파일에 시스템이 지원하는 셸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at(concatenate)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거나, 여러 파일을 연결하여 출력하는데 사용됩니다.    특정 사용자 셸 확인  cat /etc/passwd | grep root :  cat /etc/passwd | grep root 명령어는 /etc/passwd 파일에서 root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줄을 출력합니다.      히스토리 기능  history : 지정한 개수만큼 사.. 2024. 12. 20.
[Linux] 셸의 개념과 셸의 유형 및 명령어 모음 셸(Shell)은 사용자가 커널의 서비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통해 쉽게 설명이 가능합니다.    리눅스의 구조에서는 하드웨어  / 커널 / 셸 /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셸은 메모리 관리를 담당하고 커널은 프로세스 관리를 담당합니다.  셸은 운영체제의 외부 계층을 형성하고 커널은 운영체제의 내부 계층을 형성합니다.  이 때문에 셸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어를 입력 받고 해석하여 내장 및 외장 명령어를 처리하는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불립니다.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커널에게 명령어를 내리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셸을 통해 커널의 기능인 파일관리, 프로세스관리, 환경설정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셸은 응용 프로그램이 아니라 일반 응용 프.. 2024. 11. 21.
Linux 크론탭을 이용하여 Java 연동 방법 Scheduler란 특정한 시간에 등록된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프로그램 특성상 스케줄러 기능은 많이 사용되게 되는데 많은 방식이 있지만 리눅스에서 크론탭(crontab)을 이용하여 서비스할 수가 있습니다. 리눅스 크론탭(crontab)은 대부분의 리눅스 환경에서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알아두면 굉장히 편리한 기능이고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제공하기 때문에언어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연동이 가능하다는게 장점입니다.  저는 리눅스의 크론탭을 이용하여 자바를 실행하는 과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Linux 크론탭을 이용하여 자바 연동 방법      리눅스의 크론탭과 자바를 연동하려면 크게 3가지로 나뉘게 됩니다. 1. 리눅스 sh 파일 생성 및 설정2. 리눅스 crontab 설정3.. 2024. 11. 13.
[Linux] 톰캣(WAS) / 아파치(Apache) 서버 확인 및 시작 방법 어느날 서버에 접속을 하였는데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타났습니다. 서버에 접속하여 확인해봤는데 톰캣과 아파치 서버가 죽은 상태였습니다. 우선 사이트를 정상적으로 돌리기 위해 아파치 서버를 살리고 그 다음 톰캣을 살리는 과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간단한 작업이니 같이 확인해보시죠! 현상파악 (톰캣/아파치서버 확인) ps -ef | grep java 먼저 톰캣이 죽은지 확인해줍니다. ps -ef | grep java 명령어로 확인하면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있는걸 알 수 있습니다. service httpd status 이번엔 아파치 서버가 죽은지 확인해봅니다. service httpd status로 확인을 해보면 Active 항목에 inactive(비활성)으로 죽은 상태인 dead로 표현이 되어 .. 2023. 6. 16.
[Linux] Java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환경에서자바를 설치하고 환경변수 설정까지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전 JDK 1.8을 설치할 예정입니다.생각보다 간단하니 천천히 따라와 주시면 될 것 같네요! 자바 유무 확인 java -version 자바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는 java -version입니다.저처럼 없는 경우는 java: command not found를 출력하게 되죠.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니 한번 따라해보세요~~ 설치 방법 sudo yum list | grep jdk 위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가능한 자바 패키지 정보를 확인합니다.'java-1.8.0' 으로 시작하는 패키지가 있으므로 yum 명령어로 설치가 가능합니다. sudo yum install j.. 2023. 6. 15.